의원소개

교육후기사진 입금계좌안내 상담전화

유방암

   
 

 유방암의 정의

 

유방암이란 유방에 생긴 암 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만져지는 덩어리)를 말합니다. 유방암은 유방내에

머무르지 않고 유방 밖으로 퍼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약성종양이며 일반적으로 유방의 유관(젖줄)과 유소엽(젖샘)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합니다.
유관암은 유방암의 80%로 가장 많으며, 이중 관상피내암은 암세포가 유관의 안쪽에만 위치하고 있어

전이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이를 방치한 경우 침윤성으로 암으로 진행할 수 있고 침윤성

유관암은 암세포가 유관을 뚫고 주변 지방 조직으로 침윤합니다.

   
 

 유방암의 발생빈도

 

우리나라 여성의 유방암 발생빈도는 북미, 유럽의 서구 국가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지만 여성암 중

가장 흔한 병입니다. 서구화된 식습관 및 생활 패턴의 변화로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고 4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유방암의 위험인자

 

* 과거의 유방암 병력이 있거나 가족(어머니, 자매) 중에 유방암 병력이 있는 경우
* 초경이 빠르게 시작하거나 또는 폐경이 늦은 경우
* 초산이 늦은 경우 및 저 출산의 경우
* 모유 수유를 하지 않는 경우
* 폐경기증상완화를 위한 호르몬 요법을 5년 이상 지속한 경우
* 비만
* 방사선 조사
그러나 70~80%의 유방암은 이러한 위험인자가 없는 여성에서 발생합니다.

   
 

 유방암의 증상

 

유방암의 증상은 초기에는 무증상으로 있다가 멍울, 유두분비물, 피부변화, 유두 함몰, 유두의 습진성 병변, 겨드랑이의 응어리를 보일 수 있습니다. 보통 성인 여성의 50~80%가 경험하게 되는 유방통증의 경우 유방암과 관련 있는 경우는 10~15%에 불과합니다.

   
 

 유방암의 진단

 

1. 유방 자가 검진
유방 자가 검진을 통해서 유방암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습관을 가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유방 자가 검진을 하는 가장 좋은 시기는 폐경 전 여성의 경우 매달 생리 직후 3~5일 이내이고, 폐경 후 여성은 매달 정해질 날 한 달에 한 번 시행합니다.
유방암은 유두를 중심으로 윗부분 바깥 부분에서 50%이상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자가 검진시 유방의 윗부분에서 겨드랑이로 이어지는 부분에 보다 면밀한 촉진이 필요합니다.


2. 유방 자가 검진 후 이상 증상
* 한쪽 유방의 크기가 평소보다 커졌다.
* 피부가 귤껍질 같다.
* 평소와 다르게 유두가 들어가 있다.
* 유두에서 분비물이 나온다.
* 유두의 피부가 변했다.
* 비정상적인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림프절이 커져 있다.


3. 유방 촬영
X-Ray 촬영 검사로 유방암을 진단하는데 필수적 검사입니다. 초기암에서 동반되는 악성 미세석회화는 유방 촬영에서 초음파 검사보다 잘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방 조직이 치밀한 여성의 경우 유방촬영에 한계가 있으므로 초음파 검사를 추가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방 촬영시 종괴의 경계면이 삐죽삐죽하면 암을 강력히 의심할 수 있으며 조기 유방암 특히 관상피내암의 특징적인 소견인 미세석회의 발견은 주로 이 검사에서 가능하므로 조기 진간에 빠질 수 없는 검사입니다.


4. 유방초음파
보통 유방 초음파는 낭성 종양과 고형종양을 구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며 젊은 여성에서 유방조직의 밀도가 높아 유방 촬영술에서 종괴를 관찰하기 어려울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뿐만아니라 만져지지 않는 종괴의 조직검사에는 빠질 수 없는 검사이며 우리나라처럼 젊은 여성의 유방암 발생이 많을 경우에는 아주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5. 유방 MRI 검사
유방 MRI는 유방암을 진단하는데 있어 여러 영상검사 중 가장 민감도가 높은(86~100%) 검사 방법으로, 거의 모든 암이 MRI에서 이상 소견을 보이게 됩니다.
그러나 건의 특이도는 낮은 편이어서 유방암 이외에도 다른 많은 양성 질환과 정상 조직마저도 이상 소견으로 보일 수 있으므로 유방을 전공하는 영상의학과 전문의에 의한 정확한 해석이 요구되는 검사입니다.
6. 유방 병변 조직검사
위의 검사들을 통해 악성의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병소, 또는 악성이 의심되는 미세석회화 침착이 있는 경우, 양성의 모양이라도 빠르게 자라거나 모양이 변하는 경우에 조직검사를 하게 됩니다. 조직검사에는 세침흡인세포검사, 총조직검사, 맘모톰 조직검사, 수술적 조직검사 등이 있습니다.